반응형


​1941년 12월 7일 일본은 미국 태평양 함대가 주둔하고 있던 진주만을 공습합니다. 선전포고 없이 총 450대의 항공기를 실은 6척의 일본 항공모함이 하와이 근해에 접근해 무방비 상태의 미 함대에 선제타격을 가했죠. 이 공습으로 미국 전함 7척 가운데 5척이 격침되고, 200여대의 항공기가 파괴됐으며, 미군 2,334명과 민간인 103명이 사망했어요.

​진주만 공습으로 미국 전역은 충격에 휩싸였죠. 일본은 왜 선전포고도 없이 무리한 선제공격을 감행했을까요?


1. 자원 확보

당시 일본은 군수물자 부족에 직면해 있었어요. 특히 중일전쟁을 치르고 있던 일본에게 석유와 고무는 필수적인 전략자원이었지만, 미국의 제재로 수입이 모두 막혔죠.

​일본의 구상은 이랬습니다. 진주만을 공격해 미국의 태평양 함대를 무력화한 뒤, 미국이 전열을 재정비하는 동안 석유와 고무가 풍부한 동남아시아를 차지해 전략자원을 확보할 생각이었죠.


2. 미국과의 대결

일본은 미국과의 전쟁은 한 번은 치뤄야 하는, 피할 수 없는 길이라 생각하고 있었어요. 특히 미국이 일본의 동아시아 패권 의지를 꺾으려 경제적 제재를 가하자, 일본은 미국과의 대결을 불가피하게 여겼습니다. 어차피 전쟁을 피할 수 없다면, 유럽 전선이 정리된 후 미국이 태평양 전선에서 총력전을 펴기 전에 승부를 봐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어요.


3. 일본 내부의 정치적 상황

​당시 일본은 군국주의 세력이 강했습니다. 군국주의 세력은 미국과의 전쟁을 통해 일본의 국위를 높이고자 했습니다. 진주만 공습은 군국주의 세력의 작품이었죠.


4. 미국과의 협상 실패

​애시당초 일본은 미국과 협상을 통해 자원 확보 문제를 해결하려 했어요. 하지만 미국은 일본의 요구를 거부했고, 협상은 결렬됐죠. 결국 미국과의 전쟁이 불가피하다고 본 일본은 자신들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기습으로 선제타격에 나섰고, 어느 정도는 성공을 거뒀습니다.


5. 결론

​진주만 공습은 여러 가지 요인이 얽혀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어요. 그 당시 일본에게는 최선의 전략이었을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이는 많은 미국인들의 사상을 초래했고, 2차 세계대전 참전에 소극적이던 미국 여론을 호전적으로 바꿔 놓는 계기가 됐습니다.

​승승장구하며 동아시아 패권을 손에 쥐었던 일본도 미국의 참전으로 어려움을 맞게 돼죠. 미드웨이 해전에서 참패를 하며 태평양 제해권을 내주었고, 수차례 본토 공습을 당하며 전쟁 초기 유리한 듯 보였던 전황도 점점 기울기 시작합니다. 

​결국 1945년 8월 6일과 9일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맞으며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게 되죠.


 

명장 한니발은 왜 로마를 정복하지 못했나?

로마를 멸망 직전까지 몰고 갔던,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 장군에 대해 아시나요? 한니발 장군에 대해서는 모르시더라도, 코끼리를 타고 알프스 산맥을 넘은 카르타고군에 대한 이야기는 들어

beecon.tistory.com

 

반응형

+ Recent posts